logo
emoji
검색하기
어제 가장 많이 검색된 기술
emoji
가장 많이 읽은 글
logo
타임존으로 알아보는 우리나라 근현대사
ZoneRulesException :: Unknown time-zone ID: Europe/Kyiv평소에 못 보던 오류가 발생했다. 보자마자 바로 알았다. 아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때문이구나.키이우: Europe/Kyiv키예프: Europe/Kiev2022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했을 때 전 세계적으로 우크라이나 수도의 이름을 키예프에서 키이우로 바꾸자는 운동이 일어났다. 이 때문에 구글 지도를 비롯한 나무위키, 위키백과에서 모두 우크라이나어와 발음이 비슷한 키이우로 변경이 됐다. 타임존까지 영향을 주었구나.회사에서 사용하고 있는 코파일럿에 해결 방법을 물어봤다. 내 예상과 비슷하게 답을 했다. JVM 버전을 올리거나 ‘IANA TZDB’ 업데이트하면 된다. IANA(Internet Assigned Numbers Authority)는 처음 들어 보는 키워드였다. IANA는 여러 가지 역할을 하는 기관인데, 여기서는 그중 하나가 타임존을 관리하는 것이라고 알고 넘어가자.아래 주소에서 최신 타임존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https://www.iana.org/time-zones/repository/tzdata-latest.tar.gz압축을 풀면 대륙별로 파일이 있다. europe 파일을 열어보니 예상한 대로 Europe/Kyiv 타임존이 있다. 문득 우리나라도 궁금해서 asia 파일도 열어 봤다.아래는 서울과 평양에 해당하는 타임존 데이터다.# Zone NAME STDOFF RULES FORMAT [UNTIL]Zone Asia/Seoul 8:27:52 — LMT 1908 Apr 1 8:30 — KST 1912 Jan 1 9:00 — JST 1945 Sep 8 9:00 ROK K%sT 1954 Mar 21 8:30 ROK K%sT 1961 Aug 10 9:00 ROK K%sTZone Asia/Pyongyang 8:23:00 — LMT 1908 Apr 1 8:30 — KST 1912 Jan 1 9:00 — JST 1945 Aug 24 9:00 — KST 2015 Aug 15 00:00 8:30 — KST 2018 May 4 23:30 9:00 — KST타임존 변화 기록으로 보인다. 코파일럿에 해석을 시켰더니 내 예상이 맞았다.우리나라는 1908년까지 타임존 개념이 없었다. 이에 비해 일본(도쿄)은 1887년, 미국(뉴욕)은 1883년, 그리니치 천문대가 있는 영국(런던)은 1847년에 타임존 개념을 도입했다. 과학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표준화가 바탕에 있어야 한다. 타임존의 도입 시기부터 우리나라는 근대화에 뒤처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더 슬픈 건 그다음이다.국권피탈 시기 중 1912년부터 1945년까는 JST를 사용했다. 일본은 이렇게 우리의 주권을 철저하게 빼앗아 간 것이다. 1945년 광복 이후 약 한 달 만인 9월 8일에 다시 KST를 사용해 우리나라의 표준화 주권을 찾았다. 그 이후로 여러 정치, 경제적인 이슈로 08:30으로 갔다가 다시 지금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09:00로 이동했다.북한은 우리보다 조금 이른 8월
java
5/22/2025
logo
타임존으로 알아보는 우리나라 근현대사
ZoneRulesException :: Unknown time-zone ID: Europe/Kyiv평소에 못 보던 오류가 발생했다. 보자마자 바로 알았다. 아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때문이구나.키이우: Europe/Kyiv키예프: Europe/Kiev2022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했을 때 전 세계적으로 우크라이나 수도의 이름을 키예프에서 키이우로 바꾸자는 운동이 일어났다. 이 때문에 구글 지도를 비롯한 나무위키, 위키백과에서 모두 우크라이나어와 발음이 비슷한 키이우로 변경이 됐다. 타임존까지 영향을 주었구나.회사에서 사용하고 있는 코파일럿에 해결 방법을 물어봤다. 내 예상과 비슷하게 답을 했다. JVM 버전을 올리거나 ‘IANA TZDB’ 업데이트하면 된다. IANA(Internet Assigned Numbers Authority)는 처음 들어 보는 키워드였다. IANA는 여러 가지 역할을 하는 기관인데, 여기서는 그중 하나가 타임존을 관리하는 것이라고 알고 넘어가자.아래 주소에서 최신 타임존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https://www.iana.org/time-zones/repository/tzdata-latest.tar.gz압축을 풀면 대륙별로 파일이 있다. europe 파일을 열어보니 예상한 대로 Europe/Kyiv 타임존이 있다. 문득 우리나라도 궁금해서 asia 파일도 열어 봤다.아래는 서울과 평양에 해당하는 타임존 데이터다.# Zone NAME STDOFF RULES FORMAT [UNTIL]Zone Asia/Seoul 8:27:52 — LMT 1908 Apr 1 8:30 — KST 1912 Jan 1 9:00 — JST 1945 Sep 8 9:00 ROK K%sT 1954 Mar 21 8:30 ROK K%sT 1961 Aug 10 9:00 ROK K%sTZone Asia/Pyongyang 8:23:00 — LMT 1908 Apr 1 8:30 — KST 1912 Jan 1 9:00 — JST 1945 Aug 24 9:00 — KST 2015 Aug 15 00:00 8:30 — KST 2018 May 4 23:30 9:00 — KST타임존 변화 기록으로 보인다. 코파일럿에 해석을 시켰더니 내 예상이 맞았다.우리나라는 1908년까지 타임존 개념이 없었다. 이에 비해 일본(도쿄)은 1887년, 미국(뉴욕)은 1883년, 그리니치 천문대가 있는 영국(런던)은 1847년에 타임존 개념을 도입했다. 과학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표준화가 바탕에 있어야 한다. 타임존의 도입 시기부터 우리나라는 근대화에 뒤처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더 슬픈 건 그다음이다.국권피탈 시기 중 1912년부터 1945년까는 JST를 사용했다. 일본은 이렇게 우리의 주권을 철저하게 빼앗아 간 것이다. 1945년 광복 이후 약 한 달 만인 9월 8일에 다시 KST를 사용해 우리나라의 표준화 주권을 찾았다. 그 이후로 여러 정치, 경제적인 이슈로 08:30으로 갔다가 다시 지금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09:00로 이동했다.북한은 우리보다 조금 이른 8월
2025.05.22
java
emoji
좋아요
emoji
별로에요
logo
모바일 앱의 여기서 재탐색 기능 개선!
안녕하세요, 여기어때 iOS 개발팀 드락입니다.여기어때 앱은 당연! 하게도 지도 기반 탐색 기능을 제공하는데요, 오늘은 모바일 앱에서 지도 기반 기능을 구현할 때 이해하고 있으면 좋은 특성과, 최근 진행한 지도 검색 로직 개선 포인트에 대해 공유드리고자 합니다.“같은 줌 레벨에서 지도는 디바이스마다 다른 영역을 보여줍니다.”여기어때 앱은 국내 사용자를 위한 지도 기능 구현에 네이버 지도 엔진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우선 스크린샷을 한 장 보시죠.좌측 아이폰 / 우측 갤럭시 폴드두 디바이스 모두 지도의 줌 레벨은 14입니다. 소수점은 표기하지 않았지만 완전히 동일한 값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보시는 것처럼, 같은 줌 레벨임에도 불구하고 각각 보이는 지도 영역은 확연히 다릅니다. 9시부터 6시 방향으로 한번 살펴보자면 아이폰은 ‘블루맨 뮤지컬웨딩’부터 ‘길목 신관’까지, 갤럭시 폴드는 ‘S-Tower’부터 ‘삼성동더샵’까지 지도 화면 안에 들어옵니다. 줌 레벨은 같더라도 지도에 표기되는 영역에 차이가 있죠?극적인 비교를 위해 아이폰과 갤럭시 폴드를 예시로 삼았지만, 아이폰이라고 하더라도 모델에 따라 화면의 크기와 해상도가 다르기 때문에 동일한 줌 레벨에서 지도에 표시되는 영역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좌측 iPhone 12 Pro Max / 우측 iPhone 13 mini. 보여지는 범위가 다르죠?지도엔진의 동작 성격 상 디바이스 화면의 크기와 관계없이 같은 줌 레벨에서는 같은 축척의 지도를 제공하는 느낌이라고 이해하면 될 것 같은데요(따라서 화면 크기가 큰 디바이스에서 지도가 더 크게 보이는게 아니라 더 넓은 영역을 화면에 표시하게 됩니다.) 여기에 추가로 디바이스 스크린의 해상도에 따라 조금씩 달라지는 부분도 있어서요 그냥..‘같은 지도 같은 줌 레벨이어도 폰이 다르면 노출 영역이 다를 수 있구나’정도까지만 인지해 두고 넘어가면 좋을 것 같습니다:)“레거시 지도 재탐색 방식, 그리고 고민들..”이제 지도 화면 기준으로 제휴점을 검색해서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이야기드려 볼게요. 먼저 레거시 지도 검색 로직을 간단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앱에서 디바이스의 줌 레벨과 중앙 좌표값을 서버에 보냄서버는 전달받은 줌 레벨에 보편적인 차원에서 최대한 스무스하게(?) 대응되도록 만들어둔 줌 레벨-반경 맵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지금 줌 레벨에서는 이 반경값으로 검색하면 되겠다고 알아냄중앙 좌표를 기준으로 반경검색을 수행하여 결과를 앱에 제공해 줌public enum ZoomType { ... LEVEL_21(30, 21), LEVEL_20(30, 20), LEVEL_19(50, 19), LEVEL_18(100, 18), LEVEL_17(500, 17), LEVEL_16(1000, 16), LEVEL_15(1000, 15), LEVEL_14(1000, 14), LEVEL_13(1500, 13), LEVEL_12(3000, 12), LEVEL_11(5000, 11), LEVEL_10(10000, 10), LEVEL_9(20000, 9), LEVEL_8(
5/22/2025
logo
모바일 앱의 여기서 재탐색 기능 개선!
안녕하세요, 여기어때 iOS 개발팀 드락입니다.여기어때 앱은 당연! 하게도 지도 기반 탐색 기능을 제공하는데요, 오늘은 모바일 앱에서 지도 기반 기능을 구현할 때 이해하고 있으면 좋은 특성과, 최근 진행한 지도 검색 로직 개선 포인트에 대해 공유드리고자 합니다.“같은 줌 레벨에서 지도는 디바이스마다 다른 영역을 보여줍니다.”여기어때 앱은 국내 사용자를 위한 지도 기능 구현에 네이버 지도 엔진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우선 스크린샷을 한 장 보시죠.좌측 아이폰 / 우측 갤럭시 폴드두 디바이스 모두 지도의 줌 레벨은 14입니다. 소수점은 표기하지 않았지만 완전히 동일한 값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보시는 것처럼, 같은 줌 레벨임에도 불구하고 각각 보이는 지도 영역은 확연히 다릅니다. 9시부터 6시 방향으로 한번 살펴보자면 아이폰은 ‘블루맨 뮤지컬웨딩’부터 ‘길목 신관’까지, 갤럭시 폴드는 ‘S-Tower’부터 ‘삼성동더샵’까지 지도 화면 안에 들어옵니다. 줌 레벨은 같더라도 지도에 표기되는 영역에 차이가 있죠?극적인 비교를 위해 아이폰과 갤럭시 폴드를 예시로 삼았지만, 아이폰이라고 하더라도 모델에 따라 화면의 크기와 해상도가 다르기 때문에 동일한 줌 레벨에서 지도에 표시되는 영역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좌측 iPhone 12 Pro Max / 우측 iPhone 13 mini. 보여지는 범위가 다르죠?지도엔진의 동작 성격 상 디바이스 화면의 크기와 관계없이 같은 줌 레벨에서는 같은 축척의 지도를 제공하는 느낌이라고 이해하면 될 것 같은데요(따라서 화면 크기가 큰 디바이스에서 지도가 더 크게 보이는게 아니라 더 넓은 영역을 화면에 표시하게 됩니다.) 여기에 추가로 디바이스 스크린의 해상도에 따라 조금씩 달라지는 부분도 있어서요 그냥..‘같은 지도 같은 줌 레벨이어도 폰이 다르면 노출 영역이 다를 수 있구나’정도까지만 인지해 두고 넘어가면 좋을 것 같습니다:)“레거시 지도 재탐색 방식, 그리고 고민들..”이제 지도 화면 기준으로 제휴점을 검색해서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이야기드려 볼게요. 먼저 레거시 지도 검색 로직을 간단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앱에서 디바이스의 줌 레벨과 중앙 좌표값을 서버에 보냄서버는 전달받은 줌 레벨에 보편적인 차원에서 최대한 스무스하게(?) 대응되도록 만들어둔 줌 레벨-반경 맵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지금 줌 레벨에서는 이 반경값으로 검색하면 되겠다고 알아냄중앙 좌표를 기준으로 반경검색을 수행하여 결과를 앱에 제공해 줌public enum ZoomType { ... LEVEL_21(30, 21), LEVEL_20(30, 20), LEVEL_19(50, 19), LEVEL_18(100, 18), LEVEL_17(500, 17), LEVEL_16(1000, 16), LEVEL_15(1000, 15), LEVEL_14(1000, 14), LEVEL_13(1500, 13), LEVEL_12(3000, 12), LEVEL_11(5000, 11), LEVEL_10(10000, 10), LEVEL_9(20000, 9), LEVEL_8(
2025.05.22
emoji
좋아요
emoji
별로에요
logo
검증을 거쳐 완성한 여기어때 홈 아이콘 리스킨
글. 한동현(Noah) / Product Brand Designer작년 말, 여기어때는 YDS 6.0 프로젝트를 통해 홈 리스킨을 진행했어요. 그 중에서도, 앱 메인 상단의 카테고리 아이콘 개선이 큰 변화였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그 과정과 아이콘 개선에 대해 소개할게요.아이콘 개선 방향이번 홈 카테고리 아이콘 개선 작업은 두 가지 핵심 방향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어요.누구나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메타포아이콘은 짧은 시간 안에 의미를 전달해야 하는 UI 요소예요. 따라서, 누구나 처음 봐도 이해할 수 있는 보편적인 메타포를 기준으로 아이디어를 구성했어요. 복잡한 형태보다는 단순하고 명확한 상징을 통해, 사용자가 고민 없이 빠르게 선택할 수 있도록 했어요.익숙함은 유지하되, ‘Lively’ 더하기기존 아이콘의 사용자의 경험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이번 YDS 6.0 리디자인의 핵심 가치 중 하나인 ‘Lively(Spark Joy with Design)’한 감성을 담아내고자 했어요. 생동감 있고 유쾌한 분위기를 더해, 아이콘만 봐도 ‘여기어때’스러움이 느껴질 수 있도록 디자인했어요.Lively란?Lively는 여기어때 비주얼 리디자인 과정에서 정의한 코어 밸류 중 하나로 여행의 설렘처럼 생동감 있는 감성을 전하는 디자인 원칙이에요.Casual UT에서 찾은 리디자인의 힌트처음에는 기존 아이콘이 사용하는 가구 중심 메타포(침대, 쇼파 등)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스타일만 리뉴얼하는 방향으로 접근했어요. 이미 사용자들에게 익숙한 메타포였기 때문에, 그 틀을 굳이 바꿀 필요는 없다고 생각했어요.그래서 리뉴얼 스타일만 적용한 상태에서 Casual UT를 진행했는데요, 예상과는 다르게 ‘가구’로 표현된 아이콘들이 실제 카테고리와 잘 연결되지 않는다는 피드백을 받았어요. 예를 들어, ‘침대’ 아이콘만 봐서는 모텔인지 호텔인지 구분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있었어요.Casual UT 결과를 분석하면서, ‘해외 숙소’, ‘모텔’, ‘호텔’처럼 클릭률이 높은 카테고리는 기존의 가구 중심 아이콘보다는 건물 형태로 표현하는 것이 더 명확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건물 형태를 사용하면 카테고리 간 시각적 구분이 더 뚜렷해지고, 아이콘이 의미하는 바도 더 직관적으로 전달될 수 있을 것 같았어요.특히, 가구처럼 상황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 있는 메타포보다는, 공간의 특성을 직접적으로 드러내는 방식이 인지 측면에서 더 효과적일 거라는 가설을 세웠어요. 클릭률이 높은 카테고리일수록 유저가 혼동 없이 빠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시각적 오해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에요.하지만 여기서부터 새로운 고민이 시작됐어요. ‘건물’이라는 단어 자체는 분명하고 직관적인데, 실제 아이콘으로 표현하려고 하다 보니 어떤 기준으로 어디까지 다르게 그려야 할지가 애매했어요. 현실 속 건물 형태는 너무 다양해서, 자칫하면 호텔이 모텔처럼 보이거나, 그 반대로 보일 수도 있었거든요.그래서 각 카테고리 메타포의 시각적 특징을 좀 더 명확히 정의하기 위해, 실제 건물 이미지를 수집하고 분
5/22/2025
logo
검증을 거쳐 완성한 여기어때 홈 아이콘 리스킨
글. 한동현(Noah) / Product Brand Designer작년 말, 여기어때는 YDS 6.0 프로젝트를 통해 홈 리스킨을 진행했어요. 그 중에서도, 앱 메인 상단의 카테고리 아이콘 개선이 큰 변화였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그 과정과 아이콘 개선에 대해 소개할게요.아이콘 개선 방향이번 홈 카테고리 아이콘 개선 작업은 두 가지 핵심 방향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어요.누구나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메타포아이콘은 짧은 시간 안에 의미를 전달해야 하는 UI 요소예요. 따라서, 누구나 처음 봐도 이해할 수 있는 보편적인 메타포를 기준으로 아이디어를 구성했어요. 복잡한 형태보다는 단순하고 명확한 상징을 통해, 사용자가 고민 없이 빠르게 선택할 수 있도록 했어요.익숙함은 유지하되, ‘Lively’ 더하기기존 아이콘의 사용자의 경험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이번 YDS 6.0 리디자인의 핵심 가치 중 하나인 ‘Lively(Spark Joy with Design)’한 감성을 담아내고자 했어요. 생동감 있고 유쾌한 분위기를 더해, 아이콘만 봐도 ‘여기어때’스러움이 느껴질 수 있도록 디자인했어요.Lively란?Lively는 여기어때 비주얼 리디자인 과정에서 정의한 코어 밸류 중 하나로 여행의 설렘처럼 생동감 있는 감성을 전하는 디자인 원칙이에요.Casual UT에서 찾은 리디자인의 힌트처음에는 기존 아이콘이 사용하는 가구 중심 메타포(침대, 쇼파 등)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스타일만 리뉴얼하는 방향으로 접근했어요. 이미 사용자들에게 익숙한 메타포였기 때문에, 그 틀을 굳이 바꿀 필요는 없다고 생각했어요.그래서 리뉴얼 스타일만 적용한 상태에서 Casual UT를 진행했는데요, 예상과는 다르게 ‘가구’로 표현된 아이콘들이 실제 카테고리와 잘 연결되지 않는다는 피드백을 받았어요. 예를 들어, ‘침대’ 아이콘만 봐서는 모텔인지 호텔인지 구분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있었어요.Casual UT 결과를 분석하면서, ‘해외 숙소’, ‘모텔’, ‘호텔’처럼 클릭률이 높은 카테고리는 기존의 가구 중심 아이콘보다는 건물 형태로 표현하는 것이 더 명확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건물 형태를 사용하면 카테고리 간 시각적 구분이 더 뚜렷해지고, 아이콘이 의미하는 바도 더 직관적으로 전달될 수 있을 것 같았어요.특히, 가구처럼 상황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 있는 메타포보다는, 공간의 특성을 직접적으로 드러내는 방식이 인지 측면에서 더 효과적일 거라는 가설을 세웠어요. 클릭률이 높은 카테고리일수록 유저가 혼동 없이 빠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시각적 오해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에요.하지만 여기서부터 새로운 고민이 시작됐어요. ‘건물’이라는 단어 자체는 분명하고 직관적인데, 실제 아이콘으로 표현하려고 하다 보니 어떤 기준으로 어디까지 다르게 그려야 할지가 애매했어요. 현실 속 건물 형태는 너무 다양해서, 자칫하면 호텔이 모텔처럼 보이거나, 그 반대로 보일 수도 있었거든요.그래서 각 카테고리 메타포의 시각적 특징을 좀 더 명확히 정의하기 위해, 실제 건물 이미지를 수집하고 분
2025.05.22
emoji
좋아요
emoji
별로에요
logo
이토록 아름다운 새로고침
화면을 아래로 당기면 나오는 그래픽, Pull To Refresh. 그 짧은 찰나에 아름다움을 담기 위한 고민을 들려드려요.
5/22/2025
logo
이토록 아름다운 새로고침
화면을 아래로 당기면 나오는 그래픽, Pull To Refresh. 그 짧은 찰나에 아름다움을 담기 위한 고민을 들려드려요.
2025.05.22
emoji
좋아요
emoji
별로에요
logo
진짜 모두를 위한 금융
2,800만 명이 쓰는 앱에서 7,000명의 경험까지 챙기기 위해, 토스는 어떤 노력을 하고 있을까요?
5/22/2025
logo
진짜 모두를 위한 금융
2,800만 명이 쓰는 앱에서 7,000명의 경험까지 챙기기 위해, 토스는 어떤 노력을 하고 있을까요?
2025.05.22
emoji
좋아요
emoji
별로에요
logo
모두가 유저를 만나는 순간까지
일하느라 사용자를 만날 시간이 없다면, 점심시간은 어떨까요? 식사하며 사용자의 목소리를 듣는 토스 팀의 이야기를 들려드릴게요.
5/22/2025
logo
모두가 유저를 만나는 순간까지
일하느라 사용자를 만날 시간이 없다면, 점심시간은 어떨까요? 식사하며 사용자의 목소리를 듣는 토스 팀의 이야기를 들려드릴게요.
2025.05.22
emoji
좋아요
emoji
별로에요
logo
우리가 몰랐던 시각 장애인의 UX
시각 장애인이 토스를 더 쉽게 쓰려면, 무엇이 달라져야 할까요? 리서치를 통해 얻은 세 가지 인사이트를 공유할게요.
5/22/2025
logo
우리가 몰랐던 시각 장애인의 UX
시각 장애인이 토스를 더 쉽게 쓰려면, 무엇이 달라져야 할까요? 리서치를 통해 얻은 세 가지 인사이트를 공유할게요.
2025.05.22
emoji
좋아요
emoji
별로에요
logo
토스 그래픽을 10초 만에 그리는 AI
‘토스트’를 소개합니다. 인간이 3일 걸려 만드는 3D 그래픽을 10초 만에 만든다니, 퀄리티까지 따라올 수 있을까요?
5/22/2025
logo
토스 그래픽을 10초 만에 그리는 AI
‘토스트’를 소개합니다. 인간이 3일 걸려 만드는 3D 그래픽을 10초 만에 만든다니, 퀄리티까지 따라올 수 있을까요?
2025.05.22
emoji
좋아요
emoji
별로에요
logo
AI시대에 라이터로 살아남기
AI는 UX라이터에게 위기이자 기회예요. 다크패턴을 계기로, 라이터에서 프롬프트 엔지니어로 성장한 이야기를 들려드려요.
5/22/2025
logo
AI시대에 라이터로 살아남기
AI는 UX라이터에게 위기이자 기회예요. 다크패턴을 계기로, 라이터에서 프롬프트 엔지니어로 성장한 이야기를 들려드려요.
2025.05.22
emoji
좋아요
emoji
별로에요
logo
동의 화면도 간결해질 수 있을까
각종 법적 제한 때문에 자유롭지 않은 동의 화면 디자인. 관성을 깨면 얼마나 달라질 수 있을까요?
5/22/2025
logo
동의 화면도 간결해질 수 있을까
각종 법적 제한 때문에 자유롭지 않은 동의 화면 디자인. 관성을 깨면 얼마나 달라질 수 있을까요?
2025.05.22
emoji
좋아요
emoji
별로에요
Copyright © 2025. Codenar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