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tlin] 람다 lambda


• 람다는 이름 없이 함수 역할을 하는 형태로, 화살표 표기법을 사용한다. 자료형 변수명: (선언자료형) {람다식의 매개변수 -> 처리내용}의 형식으로 사용하며, 코틀린의 자료형 추론 성질로 인해 일부를 생략할 수 있다.
• 람다식은 여러 줄을 사용할 수 있지만, 결과적으로 리턴하는 값은 마지막 줄 하나이다. 중간 결과를 출력할 때도 사용될 수 있다.
• 코틀린과 자바의 가장 큰 차이점은 변수에 함수를 넣을 수 있는지의 유무로, 코틀린에서는 가능하지만 자바에서는 불가능하다.
• 람다의 특징 중 하나는 파라미터가 하나라면, it을 통해 자동으로 추론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람다를 사용하는 경우와 사용법은 많으며, 프로그래밍 언어의 강력한 무기라고 할 수 있다.

북마크
공유하기
신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