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스프링 Core] 도대체 DI(Dependency Injection) 란 무엇인가?

language-logoSpring

• 스프링의 핵심 요소 중 하나인 DI(Dependency Injection)는 외부에서 두 객체 간의 관계를 결정해주는 디자인 패턴으로, 두 객체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두어 클래스 레벨에서 의존관계가 고정되지 않도록 한다.
• DI를 통해 객체 간의 강한 결합을 제거하고, 느슨한 결합을 통해 객체의 유연성을 높일 수 있다. 이를 통해 객체가 특정 구현 클래스에 의존하지 않고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 스프링 프레임워크는 이러한 DI를 완벽하게 지원하며,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점에 빈으로 등록된 객체를 생성하고, 의존성에 맞게 알아서 주입해준다. 이 때문에 스프링은 DI 컨테이너라고 불린다.
• DI를 사용하면 객체지향의 다형성을 활용하여 역할과 구현을 명확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의존성 역전 원칙을 지킬 수 있다.

thumbnail
북마크
공유하기
신고하기
4분 분량
조회수 147
profile-image개발하는쿼카
일 년 전
Copyright © 2025. Codenar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