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 미니로 홈서버를 구축하며 #2
* 관련 기술 스택이 없습니다

• 홈서버를 운영하던 저자는 LG 그램과 HP 노트북을 사용하였으나, 동시접속자 증가와 트래픽 증가로 인한 부하, 배터리 과열 등의 문제로 홈서버를 바꾸고 싶었지만, AWS를 사용하는 것이 더 이득이라고 판단하였다.
• 그러나 테스트 배포나 개발 과정에서 필요한 테스트베드를 위해 홈서버가 필요하였고, 이를 위해 로컬에서 테스트 배포를 진행하고 ngrok을 사용하여 외부 테스트를 진행하였으나, 설정이 번거로웠다. 또한, 컨테이너 기반으로 서비스를 운영하지 않아 명령어 입력 오류로 전체 서비스가 중단되는 등의 안정성 문제와 패키지 간 의존성 문제 등이 발생하였다.
• 홈서버를 운영하면서 여러 서비스를 동시에 돌리는 데 어려움을 겪어 도커를 도입했고, 이를 통해 각 서비스별 의존성을 맞출 필요 없이 개발환경을 유지할 수 있었다.
• 홈서버 선택 기준으로는 개발용, 정적 호스팅, 정적 파일 배포용, 간단한 커뮤니티 사이트, 개발용 서버, 게임 서버, 실시간 지원이나 머신러닝이 필요한 경우 등이 있으며, 각 경우에 따라 필요한 사양과 환경이 다르다.

북마크
공유하기
신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