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잭션 격리 수준 분석: Prisma를 활용한 실습 가이드
* 관련 기술 스택이 없습니다

• 데이터베이스에서 트랜잭션의 격리 수준에 따라 데이터 처리의 안전성과 일관성이 달라지며, 이를 이해하고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격리 수준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이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을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 데이터베이스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으로는 Dirty Read, Non-Repeatable Read, Phantom Read 등이 있으며, 이들 문제는 트랜잭션의 격리 수준에 따라 발생하거나 방지될 수 있다. 이를 이해하고 적절한 격리 수준을 설정하여 데이터의 안전성과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 트랜잭션의 격리 수준에 따라 쿼리의 동작이 달라지며, 트랜잭션이 시작하자마자 쿼리를 추가하면 해당 트랜잭션이 끝날 때까지 수행이 안되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데이터에 대해 락을 걸어서 동시성을 제어하기 때문이다.
• 격리 수준에 따라 조회 시 가져오는 데이터가 달라지며, 특히 Read Committed와 Repeatable Read의 차이는 Select 한 데이터에 대해 다시 조회하더라도 데드락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지에 있다. 이를 통해 트랜잭션의 격리 수준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고, 이에 따른 상황을 고려해야 함을 알게 되었다.

북마크
공유하기
신고하기